장기요양등급이 있는 어르신 중 욕창, 비위관 삽입 등으로 간호서비스가 필요하신가요? 그럼 간호사, 간호조무사, 치위생사가 수급자의 가정을 방문해 간호하는 방문간호 서비스를 이용해볼 수 있습니다. 오늘은 2025년 방문간호 비용 및 본인부담금에 대해 총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방문간호 이용 방법
혼자서 일상생활이 어려운 어르신들이라면 장기요양등급을 인정받아 방문간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방문간호란 의사, 한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지시에 따라 간호사, 간호조무사 또는 치위생사가 수급자의 가정을 방문해 간호, 진료의 보조, 요양에 관한 상담 또는 구강위생을 제공하는 급여입니다.
장기요양등급 인정 시 일반적으로 이용 금액의 15%만 부담하면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>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: 신청방법, 급여종류, 인정절차 알아보기
2025년 방문간호 비용
방문간호 서비스 이용 시 일반적으로 이용 금액의 15%는 수급자가, 85%는 국가에서 부담합니다. 본인부담 감경 여부에 따라 9%, 6%, 면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- 일반대상자 : 15%
- 40% 감경 대상자 : 9%
- 60% 감경 대상자 및 기타 의료급여 수급자 : 6%
- ‘국민기초생활보장법’에 따른 의료급여 수급권자 : 면제
2025년 방문간호 수가
방문 당 시간 | 2025년 수가 | 15% 대상 | 40% 감경 대상자 | 60% 감경 대상자 | 면제 |
---|---|---|---|---|---|
15~30분 미만 | 41,710 | 6,256 | 3,753 | 2,502 | – |
30분~60분 미만 | 52,310 | 7,846 | 4,707 | 3,138 | – |
60분 이상 | 62,930 | 9,439 | 5,663 | 3,775 | – |
방문간호 한 달 본인부담금은 얼마?
방문간호는 재가서비스의 한 종류로 재가급여 월 한도액 내에서 방문요양, 방문목욕 등과 함께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주 1회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 시(월 4회) 본인 부담금을 계산해봤습니다.
<주 1회 방문간호(월 4회) 이용 시 본인부담금>
구분 | 총 비용 | 일반대상자 | 40% 감경대상자 | 60% 감경대상자 |
---|---|---|---|---|
15~30분 미만 | 166,840 | 25,024 | 15,012 | 10,008 |
30분~60분 미만 | 209,240 | 31,384 | 18,828 | 12,552 |
60분 이상 | 251,720 | 37,756 | 22,652 | 15,100 |
함께보면 좋은 글
> 노인장기요양보험 2025년 재가급여 월 한도액 및 장기요양수가
지금까지 2025년 방문간호 비용 및 본인부담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. 서비스 이용 시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