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TF 매매 시 발생하는 수수료, 증권사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총보수만 확인하면 될까요? 오늘은 실제 투자자가 부담하는 국내 상장 해외 ETF 수수료 및 총비용 확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국내 상장 해외 ETF 수수료

최근 국내 증권사에서 총보수 인하를 선언하면서 수수료 경쟁이 치열합니다. 이 때 증권사에서 공시하는 총보수는 투자자가 실제 매매 시 지불하는 수수료의 일부라는 점 알고 계셨나요?
총보수가 낮더라도 기타 수수료가 높은 경우 결국, 납부해야 하는 수수료 금액은 높을 수가 있는데요. ETF 수수료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.
ETF 수수료 구조
- 총비용 = 총보수 + 기타비용 + 매매중개수수료
증권사에서 낮추고 있는 총보수와 회계감사비, 지수사용료 등이 포함되어있는 기타비용, 그리고 매매 시 발생하는 매매중개수수료까지 합치면 총비용이 됩니다.
각 항목 당 해당하는 수수료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총보수 : 운용수수료, 판매수수료, 수탁수수료, 사무관리 수수료
- 기타비용 : 회계감사비, 지수사용료, 예탁원 결제보수, 채권평가 보수, 해외자산 보관 수수료
- 매매중개수수료
투자자가 실제 납부하는 수수료
투자자가 실제로 납부해야 하는 수수료는 총비용입니다. 즉 총보수, 기타비용, 매매중개수수료까지 합쳐진 수수료를 납부하는 것입니다.
최근 총보수 인하로 국내 상장 미국 S&P500 ETF 수수료를 증권사별로 비교해봤습니다. 그 내용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!
> 증권사별 국내 상장 미국 S&P500 ETF 수수료 비교
국내 상장 해외 ETF 총비용 확인 방법
그럼 ETF 매매 시 발생하는 총 수수료인 총비용은 어떻게 확인해야 할까요? 정확하게 총비용 계산은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1.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서비스에 접속합니다.

2. 상단 메뉴 중 ‘펀드공시 > 펀드별 보수비용비교’ 를 클릭합니다.

3. 검색을 원하는 ETF 종목 이름을 ‘펀드명’ 에 검색합니다. 저는 ‘미래에셋TIGER미국S&P500’ 종목 확인을 위해 ‘TIGER미국S’ 라고 검색해봤습니다.

4. 저는 엑셀 다운로드를 통해 정확하게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5. 위 엑셀 화면에서 총보수는 운용, 판매, 수탁, 사무관리를 합친 합계(A)입니다. 기타비용(B)와 매매, 중개 수수료율(D)를 합하면 우리가 매매 시 실제로 지불하는 총비용이 됩니다.
- 총보수 : 0.07%
- 기타비용 : 0.08%
- 매매, 중개 수수료 0.0519%
- 총비용 : 0.2019%
다른 종목들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검색 후 총비용을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.
함께보면 좋은 글
> 대체거래소(ATS) 넥스트레이드 뜻, 주식 거래 시간은 언제?
지금까지 국내 상장 해외 ETF 수수료, 총비용 확인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. 총보수 비용 뿐만 아니라 다른 수수료까지 확인하셔서 현명한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